금리상승기 은행권 '고배당' 눈총... 공적기능은 뒷전?
상태바
금리상승기 은행권 '고배당' 눈총... 공적기능은 뒷전?
  • 문혜원 기자
  • 승인 2023.01.18 08: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자수익 따라 은행株 급등 '주주가치 매력' ↑
사회공헌 투자지출액 매년 감소...'소홀' 비판
"경기 침체기, 주주환원 높이기 신중성 요구"
최근 금리상승으로 인해 주요 은행지주들의 이자이익도 호실적을 웃돌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은행들의 고배당정책 실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각 시중은행 본사 전경. 사진=시장경제DB
최근 금리상승으로 인해 주요 은행지주들의 이자이익도 호실적을 웃돌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은행들의 고배당정책 실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각 시중은행 본사 전경. 사진=시장경제DB

최근 금리상승으로 주요 은행지주들의 이자 이익이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고배당정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주주친화정책이라는 명분에도 불구하고 실적경영에 치중해 사회공헌을 위한 투자확대에는 소홀하다는 지적 때문이다. 

배당정책이란 기업의 이익중에서 주주에게 어느 정도를 떼어내 주는 방식을 일컫는다. 기업은 이를 언제 어떠한 방식으로 투자자들에게 분배할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배당이 많으면 많을수록 이익이 커져 고배당을 선호하게 된다.

18일 은행권에 따르면 최근 일부 금융지주가 배당성향을 30%까지 올리는 방안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사상 최대실적을 바탕으로 성과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주가 부양 의지가 높아진 탓이다. 

KB·신한·우리·하나 등 4대 금융지주의 작년 3분기까지 당기순이익은 13조8540억원으로 금리인상 기조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돼 4분기에는 16조6400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지주별로 보면 우리금융의 순이익이 전년과 비교해 18.2% 늘어 상승폭이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된다. KB금융과 하나금융은 각각 9.0%, 4.3%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신한금융의 추정치는 16.9%로 금융지주 최초로 연간 순익 ‘5조클럽’에 가입할 전망이다. 

아울러 금융지주의 배당성향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차원에서 주주환원 기조를 본격화한데다 앞서 2021년 금융당국이 은행 배당확대를 자율에 맡기기로 하면서 고조되는 분위기다. 

실제로 지난해 4대 금융지주의 배당성향 역시 최대 실적 경신에 따른 역대급 배당규모를 나타냈다. 작년 배당성향의 경우 △KB금융 26% △신한금융 25.2% △하나금융 25.6% △우리금융 25.3%를 각각 기록했다. 총 배당금액은 3조7505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찍었다.

통상 국내은행의 수익구조는 이자에 크게 의존햔다. 금리상승기에는 은행지주 핵심 계열사인 은행의 이자수익이 급격히 불어나 호실적을 견인한다. 즉, 이자를 많이 받을수록 은행의 수입이 늘어나고 배당금도 증가하는 구조다. 

반면 은행권의 사회공헌활동 지출비용은 매년 감소했다. 은행연합회가 공시한 ‘은행 사회공헌활동’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4대 은행의 사회공헌 지출비용은 5782억원으로 전년대비(1조919억원) 548억원 감소했다. 최근 5년간 은행권의 사회공헌활동 지출액은 2017년 7417억원, 2018년 9905억원, 2019년 1조 1395억원으로 조금씩 늘어나다 2020년 코로나 발생 직후부터 감소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은행권의 고배당정책이 자칫 서민들의 눈에는 ‘배당잔치’로 비춰질 수 있다며 주주이익 극대화보다는 사회환원 투자 등 서민금융을 위한 정책개선에 힘을 써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는 그간 은행들이 서민들을 상대로 벌어들인 '수익(대출이자)'을 통해 배당확대를 하고 있다는 뿌리깊은 인식에서 비롯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 여파로 인한 경기불황기에도 은행들은 과도한 대출 장사로 순이익을 달성했다”면서 “그럼에도 오히려 사회공헌 지출액이 감소한 것은 결국 서민들의 수익을 통해 배당이익만 늘린 셈”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은행의 예대마진율이 배당불리기와 주식평가로 이어지는 구조는 오히려 과도한 배당정책으로만 갈수 있어 개선해야 한다”며 “배당액은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에서 기업가치도 높이고 서민들도 도울 수 있는 책임경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은행들은 “서민을 위한 저금리 대출, 정부 정책대출 재원 출현, 수수료 감면 또는 면제 등 서민을 위한 금융부담 완화정책을 제공하고 있다”며 “실적을 꼭 주주들에게 환원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아울러 “부실채권 등 다가올 리스크를 대비하려면 자체 수익률을 꾸준히 끌어올려야 하는 상황이라 배당확대는 필수요소”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금융리스크 부실 발생 등 위험 요인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제반상황을 고려한 신중한 배당정책 운영을 당부했다.

한 투자업계 전문가는 “금리상승기가 장기화 될수록 주식시장 등 경기침체에 대한 불안도 지속 된다”면서 “특히 최근에는 부동산 PF대출 등 금융부실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정부가 충당금을 촘촘하게 쌓게 하는 분위기라 신중한 배당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위한 추가 적립이 발생해 금융지주들의 배당가능이익이 줄어들 수 있어 정부도 배당 자율성을 어느 수준까지 존중하겠다는 것인지는 논의가 필요하다”고도 조언했다. 

한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16일 열린 한 토론회에서 "은행들이 경제위기급 상황에서도 배당성향 늘리기에만 급급할뿐 사회공헌 등 공적기능에는 소원하다"며 공적책임 강화를 주문한 바 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이슈포토